본문 바로가기
생활 & 정보

보조배터리 와트(Wh) 계산법! 이렇게 쉬웠어?? (+ 자주 쓰는 용량별 와트 정리)

by 해피픽 2025. 3. 11.
반응형

2025년 3월부터 보조배터리 기내반입 규정이 더 까다로워져 160Wh 이상은 아예 못 들고 타고, 100Wh~160Wh 사이는 항공사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항공사에서는 와트시(Wh) 단위를 기준으로 확인하는데요, 보조배터리에는 일반적으로 mAh(밀리암페어시)와 V(볼트) 정보만 표기되어 있어서 헷갈리기만 합니다. 매우 쉽게 직접 와트 계산하는 방법이 있으니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완전-쉬운-보조배터리-와트-계산-방법

1. 와트 계산, 뭘 보면 되나요?

보조배터리 겉면이나, 사용설명서를 보시면 아래와 같은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 mAh(밀리암페어시) : 5,000mAh, 10,000mAh 이런 식으로 쓰여 있습니다.
  • V(전압, 볼트) : 보통 3.7V입니다. 안 적혀 있으면 3.7V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 두 가지 숫자만 알면 와트를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전혀 어렵지 않습니다.

보조배터리-와트-계산법


※ 보조배터리에 전압이 표시되어 있지 않다면? 

대부분의 보조배터리는 리튬이온(Li-ion) 또는 리튬폴리머(Li-Po) 배터리를 사용하며, 이 배터리 셀의 표준 전압은 3.7V입니다. 제조사가 전압을 따로 명시하지 않았다면, 이 값을 기본으로 가정해도 무방합니다.

우리나라에서 판매되는 일반적인 보조배터리(예: 10,000mAh, 20,000mAh 등)는 거의 예외 없이 3.7V를 기준으로 설계됩니다. 그러니 전압이 안 보이면 3.7V로 계산하는 게 가장 안전하고 합리적인 방법입니다.

  • 다른 전압 가능성 : 드물게 고용량 배터리나 특수 제품은 여러 셀을 직렬로 연결해 전압이 7.4V(3.7V × 2)나 11.1V(3.7V × 3) 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는 보통 설명서나 포장지에 "Nominal Voltage"나 "Cell Voltage"로 표시됩니다. 표시가 없다면 7.4V나 11.1V로 가정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 출력 전압 혼동 피하기 : 입력/출력 전압(예: 5V, 9V, 12V)은 충전이나 출력에 쓰이는 값이지 내부 셀 전압이 아니므로, 이를 와트 계산에 사용하면 안 됩니다.

2. 정말 쉬운 와트시(Wh) 계산 방법

아래 공식에 해당 숫자를 대입하면 와트시를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 공식 : (mAh × V ) ÷ 1000  = Wh

예를 들어, 20,000mAh / 3.7V 보조배터리라면,

  • (20,000 × 3.7 ) ÷ 1000  = 74Wh

20,000 × 3.7 = 74,000

74,000 ÷ 1000 = 74Wh


 '20,000에 3.7 곱하고 1000으로 나누기' 이렇게 하면 와트 계산은 끝입니다. 

 

3. 보조배터리 용량별 와트시 미리 계산해 보기

보조배터리 용량 전압(V) 계산된 와트(Wh)
5,000mAh 3.7V 18.5Wh
10,000mAh 3.7V 37Wh
20,000mAh 3.7V 74Wh
25,000mAh 3.7V 92.5 Wh
30,000mAh 3.7V 111Wh
40,000mAh 3.7V 148Wh


30,000mAh 이상 보조배터리는 항공사 승인이 필요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4. 마무리하며

보조배터리의 기내 반입 규정이 강화되면서, 이제는 와트시(Wh) 계산법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보조배터리에 표시된 mAh(용량)와 V(전압)만 확인하면 간단한 공식으로 Wh를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반입 가능 여부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5 보조배터리 기내반입 용량과 허용 개수는? 최신 규정 정리!

비행기를 탈 때 보조배터리와 전자담배를 챙기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 전자기기를 많이 쓰다 보니 배터리가 필수입니다. 하지만 2025년 3월 1일부터 국토교통부가 새

happypick.tistory.com

 

 

반응형